맨위로가기

니콜라이 레자노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레자노프는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러시아의 정치가이자 탐험가로, 러시아-아메리카 회사의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뛰어난 외국어 실력을 바탕으로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일본과의 통상 교섭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알래스카 식민지의 식량난 해결을 위해 캘리포니아로 건너가 식량을 확보하고 현지 여성 콘셉시온 아르궤요와 약혼했으나,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가는 길에 사망했다. 그의 삶과 로맨스는 여러 문학 작품과 록 오페라의 소재가 되었으며, 일본과의 교섭 실패와 흐보스토프 사건은 19세기 후반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탐험가 - 조지 밴쿠버
    조지 밴쿠버는 영국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로서, 쿡 선장의 항해 경험을 바탕으로 북미 태평양 연안을 탐험하고 측량하며, 영국 지배를 확고히 하는 임무를 수행했고, 그의 탐험은 지리적 지식 확장과 밴쿠버와 같은 지명에 그의 이름을 남겼지만, 원주민 관계와 주요 강 발견 실패에 대한 평가도 존재한다.
  • 캘리포니아 탐험가 -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잉글랜드 해군 제독이자 탐험가, 사략선 선장으로, 세계 일주를 성공하고 무적함대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노예 무역과 사략 행위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에도 시대의 외국인 - 헨드릭 브라우어르
    헨드릭 브라우어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장이자 총독으로서 브라우어르 항로 개척, 일본과의 관계 개선, 아유타야 왕국과의 무역 관계 확립,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분쟁 해결 노력, 태평양 탐험 지원, 칠레 발디비아 재점령 원정 등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 에도 시대의 외국인 - 아담 락스만
    아담 락스만은 18세기 후반 러시아가 일본과의 통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파견한 사절로, 표류민 송환과 통상을 요구했으나 쇄국 정책으로 나가사키 입항 허가증만 받고 돌아갔다.
니콜라이 레자노프
기본 정보
니콜라이 레자노프의 초상화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레자노프의 초상화 (19세기 초)
본명니콜라이 페트로비치 레자노프
로마자 표기Nikolay Petrovich Rezanov
출생1764년 4월 8일 (율리우스력 1764년 3월 28일)
출생지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1807년 3월 13일 (율리우스력 1807년 3월 1일)
사망지크라스노야르스크
국적러시아 제국
직업외교관, 탐험가, 기업가, 작가
경력
활동 분야러시아-아메리카 회사
주요 업적러시아 최초의 세계 일주 탐험대 조직
캘리포니아와의 무역 관계 수립 시도
가족 관계
배우자안나 그리고리예브나 셸리호바 (사망)
자녀드미트리, 올가
기타 정보
관련 인물가브릴 데르자빈
니콜라이 룸얀체프
호세 다리오 아르구엘로
콘셉시온 아르구엘로

2. 초기 생애

니콜라이 레자노프는 1764년 3월 2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나이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는데, 14세가 되기 전에 이미 5개 국어를 습득했다.[1] 1778년에는 포병학교를 졸업하고 근위 연대에 입대했다. 1782년에는 군에서 퇴역하여 지방 법원 판사가 되었고, 1787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법원에 배속되어 해군성 차관 비서 등을 맡았다.

1791년, 레자노프는 가브릴라 데르자빈의 참모로 합류하여 예카테리나 2세의 개인 비서 역할을 했다. 플라톤 주보프는 레자노프에게 관심을 보였고, 데르자빈 밑에서 일한 지 1년 만에 그를 보좌관으로 고용했다.[17]

3. 모피 무역에 대한 관심

1793년 겨울, 레자노프는 플라톤 주보프의 대리인 자격으로 이르쿠츠크에 있는 셸리호프-골리코프 회사의 사업을 감독하게 되었다.[4] 1794년 8월 이르쿠츠크에 도착한 그는[5] 셸리호프와 함께 청나라와의 연례 무역을 위해 캬흐타를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다.[6] 레자노프는 광저우에서 영국인들이 해상 무역을 하는 것에 비해, 중국으로 가는 육상 노선이 비효율적이고 구식이라고 생각했다.[6]

1795년 1월, 레자노프는 셸리호프의 14세 딸 안나와 결혼하여 신부 지참금으로 셸리호프 회사의 주식을 받았다.[7] 7년 후 안나가 출산 중 사망했지만,[6] 레자노프는 회사의 파트너가 되어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795년 말 셸리호프가 사망하자 레자노프는 회사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회사의 상속인이 셸리호프의 아내 나탈리아였기 때문에 소외감을 느꼈다.[8] 그는 영국 동인도 회사와 같이 왕실 헌장을 얻어 회사를 발전시키기로 결심했다.

4.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1791년 데르자빈의 관방장으로 일하던 레자노프는 예카테리나 2세 말년 총신의 부하가 되었다.[17] 당시 모피 무역에 관심을 가진 총신은 동시베리아 이르쿠츠크의 모피상인 그리고리 셸리호프와 연락을 취했다. 셸리호프는 이반 고리코프와 함께 알래스카와 북태평양 방면에서 식민 및 무역 활동을 하던 「셸리호프=고리코프 모피 회사」를 설립했다.

1793년 겨울, 레자노프는 총신의 대리인으로서 이르쿠츠크의 셸리호프 사업을 시찰하기 위해 시베리아 횡단 여행을 떠났다.[18] 1794년 여름 이르쿠츠크에 도착한 레자노프는[19] 셸리호프가 1년에 한 번 과의 국경 마을 캬흐타에서 하는 무역에 동행했다.[20] 레자노프는 영국이 해로를 이용하여 광저우에서 하는 무역에 비해 육로를 이용한 청·러시아 간의 캬흐타 무역이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20] 1795년 1월, 레자노프는 셸리호프의 14세 딸 안나와 결혼하여 신부 지참금으로 셸리호프 회사의 주식을 취득했다.[21] 안나는 7년 후 산욕열로 사망했지만,[20] 레자노프는 공동 경영자로서 회사와 사업 확대를 추진했다. 1795년 셸리호프가 사망하자 회사의 지도자가 되었으나, 회사 소유권은 셸리호프의 아내 나탈리아에게 있었고, 고리코프의 이탈과 함께 「미국 회사」로 개명된[22] 회사 경영에서 레자노프는 점차 소외되었다.[23]

레자노프는 회사를 되찾고 업무를 확대하기 위해 영국의 인가 회사처럼 러시아 황제로부터 인가를 얻어 러시아의 모피 사업을 독점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레자노프는 예카테리나 2세를 설득하여 인가를 자신에게 받도록 하는 데 성공했지만, 직후 예카테리나 2세는 사망했다. 레자노프는 신황제 파벨 1세로부터 인가를 얻기 위해 설득을 다시 시작했지만, 정신 불안정하고 완고한 신황제로부터 좋은 답변을 얻을 전망은 없었다. 그러나 레자노프는 굴하지 않고 황제를 설득했고, 그 사이 1797년에는 경쟁 회사인 이르쿠츠크의 밀니코프 회사를 미국 회사에 통합시켜 「합동 미국 회사」를 만들고, 그 경영자가 되었다. 1799년 7월, 파벨 1세는 북위 55도선 이북의 아메리카 대륙에 러시아령 아메리카 식민지를 설립하고, 인가 회사인 러시아-아메리카 회사(RAC)에 식민지 경영을 독점시키는 1799년 칙령을 내렸다.

4. 1. 회사의 문제점과 레자노프의 노력

러시아-아메리카 회사(RAC)는 1799년 칙령에 따라 북아메리카 태평양 북서부 해안에 대해 독점권을 부여받았다. 이는 오늘날 알래스카의 남쪽 경계와 대략 일치하는 북위 55도에서 북쪽으로, 그리고 캄차카에서 알래스카로, 그리고 남쪽으로 일본까지 뻗어 있는 섬들에 대해 20년 동안 독점권을 갖는 것이었다.[9] 레자노프는 회사의 "수도 고위 대표"로 지정되었으며,[9] 파벨 1세, 알렉산드르 1세, 콘스탄틴 파블로비치 대공도 주주였다. 회사는 처음에는 19세기 초까지 호황을 누렸지만, 이후 부적절한 관리와 영양가 있는 식량 부족으로 인해 심각한 손실과 파산을 위협받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차 러시아 세계 일주가 시작되었다. 레자노프는 이 원정대의 전권대사로 임명되어 도쿠가와 막부와 외교 관계를 개설하는 특별 임무를 받았다.[10] 1804년, 원정대는 나가사키 만에 도착했지만, 일본과의 통상 교섭은 실패로 끝났다.[12]

1962년 국립공원관리청에서 건설한 러시아 블록 하우스 1호의 복제품.


일본과의 교섭이 실패한 후, 레자노프는 러시아 식민지에 머물면서 회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노보 아르한겔스크를 포함한 식민지를 순회하며, 모피를 얻는 동물들을 보호하고, 회사의 법을 어긴 사람들을 처벌하거나 추방했다.[12] 또한 학교와 도서관을 설립하고 요리 학교를 설립하는 등 식민지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5. 일본과의 교섭 (견일사절)

레자노프는 러시아-아메리카 회사의 식량난을 해결하고 경영을 개선하기 위해 일본과의 교역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는 1792년 일본인 표류민 다이코쿠야 코다유 일행을 송환하며 통상을 요구했던 아담 락스만과 일본 에도 막부의 로주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사이에 오갔던 국교 수립 약속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견일사절(遣日使節) 파견을 조정에 요청했다.[9][10][11][12]

레자노프 병풍


레자노프는 일본인 표류민 츠다유 일행을 송환한다는 명목으로 견일사절이 되어,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친서를 지참하고 정식 사절단을 이끌었다. 그는 정식 국교 수립을 위한 통행 허가증인 신패를 가지고 아담 요한 폰 크루젠슈테른이 이끄는 세계 일주 항해 함대의 대장으로서 페테르부르크를 출발했다. 이들은 남아메리카를 거쳐 태평양을 항해하고 하와이 왕국을 경유하여 캄차카 반도의 러시아 거점 페트로파블롭스크에 도착했다.[10][11]

항해 도중, 레자노프는 기함 나데즈다 호의 함장 크루젠슈테른과 심하게 대립했다. 그는 츠다유와 같은 일본인 표류민 젠로쿠에게서 일본어를 배워 사전을 만들기도 했다.

5. 1. 나가사키에서의 억류와 교섭 실패

1804년(분카 원년) 9월, 레자노프는 나가사키 데지마에 내항했다. 그러나 교섭 상대였던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존호사건으로 로주 직에서 실각한 뒤였고, 막부는 외교 능력을 상실한 상태였다. 대신 로주 도이 도시쓰라가 교섭을 담당했다.[24] 도이는 하야시 시헤이에게 의견을 구했는데, 하야시 시헤이는 러시아와의 통상은 "조상의 법"에 어긋나므로 거절해야 하지만, 아담 라크스만에게 신패를 준 전례가 있으니 레자노프를 예의를 갖춰 설득해야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도이는 레자노프에게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결국 레자노프 일행은 6개월 동안 데지마 근처에 억류되었다.[24] 이 기간 동안 오타 난포를 포함한 봉행소 검사들이 레자노프를 방문하기도 했다.[24] 이듬해, 나가사키 봉행 도야마 가게노리는 "조정 역세의 법"에 따라 당산(중국)·조선·류큐·홍모(네덜란드) 외의 국가와는 통신·통상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통보하며, 장비와 식량도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채 통상을 거절했다.[25]

6.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

1805년 4월, 나가사키를 떠나 캄차카로 향한 레자노프에게 극동에 머물면서 러시아-아메리카 회사의 북태평양과 알래스카 영업지를 시찰하여 혼란을 수습하라는 명령이 전달되었다. 당시 알래스카 해안에서는 트링기트족과 러시아-아메리카 회사 간의 전쟁이 계속되었고, 1804년 시트카 전투에서 겨우 사태가 진정되었다. 그는 알류샨 열도를 따라 알래스카의 본거지인 노보아르한겔스크(현재 알래스카주 남부 시트카)로 향하여 모피 남획 방지, 회사 규정을 위반한 사원 처형, 초등학교, 도서관 및 영양학교 개설 등을 실시했다.[26]

1806년 봄, 기아에 시달리는 겨울이 지나자, 레자노프는 연안에 기항하는 미국인 선장으로부터 배를 사들여 누에바 에스파냐와 협정을 맺고, 연 2회 교역을 통해 식량난에 시달리는 알래스카에 멕시코 식량을 비축할 목적으로 스페인령 캘리포니아(알타 캘리포니아)로 출항했다.[26] 도중에 폭풍을 만나 당초 목표였던 컬럼비아강 하구 부근(현재 워싱턴주오리건주)의 러시아 영유권 선언은 할 수 없었지만, 샌프란시스코 항에 도착하여 닻을 내렸다.

6. 1. 캘리포니아 방문과 콘셉시온 아르궤요와의 로맨스

1806년 알래스카 시트카의 식민지 주민들은 괴혈병과 기아로 죽어가고 있었다. 레자노프는 식량난 해결을 위해 러시아의 태평양 연안 식민지화 경쟁자인 스페인으로부터 식량과 물품을 구매하고자 캘리포니아로 남쪽으로 항해했다.[13] 굶주림과 괴혈병에 시달리며, 3월 27일 샌프란시스코 만을 내려다보는 스페인군의 총구 아래 도착하여 샌프란시스코의 ''사령관'' 돈 호세 다리오 아르궤요를 만났다. 6주 동안의 체류 기간 동안 레자노프는 밀, 보리, 완두콩, 콩, 밀가루, 탤로우, 소금 및 기타 품목을 성공적으로 교환하고 구매했다.[14]

마리아 데 라 콘셉시온 마르셀라 아르궤요 이 모라가(1791-1857)


레자노프는 사령관의 15세 딸 콘셉시온 아르궤요("콘치타")와 사랑에 빠져 약혼했다. 러시아 정교회 신자인 레자노프와 로마 가톨릭교회 신자인 콘셉시온의 종교와 국적 차이는 좁은 사회인 캘리포니아 사회에서 큰 파장을 일으켰지만, 레자노프의 외교술이 성직자들을 설득했다. 레자노프는 스페인과의 조약 체결을 약속받고 6월 8일 시트카로 돌아갔다.[15]

7. 사망

레자노프는 1807년 3월 8일(5월 8일) 시베리아 크라스노야르스크(과거 크라스니 야르)에서 열병과 피로로 사망했다.[16][28] 그는 오랜 기간의 가혹한 항해 및 시베리아 횡단으로 인해 건강이 악화되어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크라스노야르스크에 있는 레자노프의 묘소에 세워진 기념비. 1831년 건립, 소련 시대에 파괴된 후 2007년에 재건


크라스노야르스크에 있는 레자노프상

8. 유산

레자노프의 캘리포니아주 방문과 콘셉시온과의 로맨스는 여러 문학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프랜시스 브레트 하트는 "콘셉시온 데 아르구엘로"라는 발라드를 썼고, 거트루드 애서턴은 1937년 소설 "레자노프와 도냐 콘차"를 발표했으며, 레자노프와 콘셉시온의 로맨스 100주년에 맞춰 그의 전기를 집필하기도 했다.[16]

1979년, 알렉세이 리브니코프와 안드레이 보즈네센스키는 레자노프와 콘셉시온의 사랑 이야기를 바탕으로 러시아 최초의 록 오페라 중 하나인 "주노"와 "아보스"를 썼다. 이 작품은 렌콤 극장 초연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고, 2013년까지 공연되었다. 2005년 교통사고로 중상을 입은 니콜라이 카라첸초프를 대신하여 드미트리 페프초프와 빅토르 라코프가 레자노프 역을 맡고 있다.[16]

캘리포니아주 몬터레이 경찰청장 게리 E. 브라운은 콘치타의 무덤에서 가져온 흙과 장미를 레자노프의 무덤에 뿌리고, 레자노프의 무덤에서 흙을 가져와 캘리포니아주 베네시아에 있는 콘셉시온의 묘소에 뿌리는 의식을 통해 두 연인을 기렸다. 그는 "이것은 상징적인 방식으로 그들을 영원히 연결시킬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6]

8. 1. 한반도에 미친 영향

레자노프의 일본과의 통상 교섭 실패와 이후 흐보스토프 사건은 일본과 러시아 제국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이는 19세기 후반 조선을 둘러싼 열강들의 각축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일본이 러시아의 남하를 경계하며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려 한 것은 이러한 역사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29]

8. 2. 니콜라이 레자노프에 대한 한국의 시각과 평가

니콜라이 레자노프는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팽창 정책을 수행한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특히, 그의 일본과의 통상 교섭 시도는 당시 쇄국 정책을 유지하던 조선에게도 위협으로 인식될 수 있었다.

레자노프의 일본 원정 실패와 캘리포니아 방문 이후, 러시아는 미국에 알래스카를 매각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러시아의 팽창 정책이 한계에 부딪혔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에서는 레자노프의 활동을 제국주의적 침략 시도로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의 일본과의 통상 교섭 시도는 동아시아 지역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조선의 주권을 위협하는 행위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국민의힘 및 보수 진영에서는 레자노프를 근대화 시도에 실패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그의 원정 실패는 러시아의 국력 약화를 초래하고, 결국 알래스카 매각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Nikolai Rezanov and the Dream of a Russian America Bloomsbury 2013
[2] 문서 2013
[3] 문서 2013
[4] 문서 2013
[5] 문서 2013
[6] 문서 2013
[7] 간행물 Early Russo-Japanese Relations 1950
[8]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Bloomsberry USA 2013
[9] 문서 2013
[10]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Nikolai Rezanov and the Dream of a Russian America Bloomsbury Publishing 2013
[11] 문서 2013
[12] 문서 2013
[13]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Nikolai Rezanov and the Dream of a Russian America Bloomsbury Publishing 2013
[14] 서적 Baranov, Chief Manager of the Russian Colonies in America The Limestone Press 1973
[15]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Nikolai Rezanov and the Dream of a Russian America Bloomsbury Publishing 2013
[16] 서적 Alaska: An American colon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6
[17]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Nikolai Rezanov and the Dream of a Russian America Bloomsbury 2013
[18] 문서 2013
[19] 문서 2013
[20] 문서 2013
[21] 간행물 Early Russo-Japanese Relations 1950
[22] 서적 Russia in Pacific Waters, 1715–1824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81
[23] 서적 Glorious Misadventures Bloomsberry USA 2013
[24] PDF 若宮丸年表 http://deracine.fool[...] 若宮丸漂流民友の会会報準備号 2001
[25] 문서
[26] 문서 2013
[27] 서적 Baranov, Chief Manager of the Russian Colonies in America The Limestone Press 1973
[28] 서적 Alaska: An American colony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6
[29] 웹사이트 Кончита и Николай http://america-xix.o[...] Северная Америка. Век девятнадцатый. 2021-01-11
[30] 서적 「解説」する文学 岩波書店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